1. COVID-19
2020년, 우리는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어려움이 우연한 불행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폐쇄 병동에 수용되어있던 장애인은 집단 감염에 방치되었고, 코호트 격리된 요양시설 등에서 노인과 약자가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공공병원이 코로나19 전담 병원으로 지정되었다는 이유로 기존 환자가 쫓겨나는 등 ‘의료공백’도 드러났습니다. 인권단체들은 재난상황에서도 모두가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했습니다.
코로나19 시대, 인간의 존엄과 권리를 이정표로 삼자
전국의 20여개 인권단체가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사회적 약자·소수자의 권리를 보장하는 방안을 함께 모색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코로나19와 인권, 인간의 존엄과 평등을 위한 사회적 가이드라인>을 제작하여 코로나19 위기를 모두가 안전하게 넘어서기 위한 방향을 제안했습니다.
더 자세히 보기 >
코로나가 드러내는 인종차별의 민낯
코로나19 확산 초기 이주민들은 공적 마스크를 구매할 수 없었다는 것을 아시나요? 재난 상황에서 이주민의 삶은 더욱 위협받았습니다. ‘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에서는 인종차별 철폐의 날을 맞이하여 이주민의 체류자격, 국적, 출신국가에 따른 차별이 없는 재난 대책을 마련할 것을 정부에 요구했습니다.
더 자세히 보기 >
코로나19 의료공백, 존엄과 평등으로 채우다
아플 때 병원에 갈 수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코로나19 의료공백 인권실태 조사단’은 공공병원 이용률이 높고, 의료정보 접근성은 낮은 사회적 약자·소수자들이 ‘의료공백’으로 적절한 의료조치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더욱 많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이에 <코로나19 의료공백 인권실태조사보고서>를 발표하고 누구든지 아프면 안전하게 치료받을 수 있는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더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