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성과



2020 성과

01 - 코로나19 대응

02 - 배분/지원

03- 이어달리기

04 - 인권기행

01 - 코로나19 대응

02 - 배분/지원

03 - 이어달리기

04 - 인권 기행

01

코로나19  대응  


펜데믹 이후 ‘재난은 평등하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할 때마다 정의롭지 못한 우리 사회의 민낯이 드러났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당황하지 않고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들과 함께 1년을 보냈습니다.

 우리가 마주한  상황 

장애인 시설 코호트 격리 -

시설 내 감염 확산 

노숙인 지원 시설 폐쇄

이태원 클럽 발 집단감염 -

성소수자 혐오 확산

열악한 노동환경 -

콜센터, 물류센터 내 집단감염

집회/시위 금지 조치  

인권 활동의 위축





대응 방법 -  긴급 모금, 긴급 지원 


대응 방법 -

 긴급모금  + 긴급지원 



INSIGHT -

사회적 소수자는 재난 앞에 더욱 취약합니다. 방역, 치료, 예방 등 코로나19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인권의 원칙이 반드시 지켜져야 합니다. 또한 사회적 소수자를 위해 목소리를 내는 인권활동가의 어려움도 살펴야 합니다.


HOW TO -

2020년 두 차례의 긴급 모금을 통해, 상반기에는 대구 지역의 장애인권활동 단체를, 하반기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10개 단체를 지원했습니다. 코로나19에 대응하는 특별 지원 사업도 신설했습니다.



02

2020  배분/지원 


코로나19 상황에서 인권단체와 인권활동가는 모두가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했습니다. 2020년 인권재단 사람의 주요 지원 사업을 네 가지 키워드로 살펴 보세요. 

가 마주한  키워드 

COVID-19

이주민과 난민  

플랫폼노동

차별금지법





배분/지원 방법 -  소통하는 재단, 유연한 지원 

 

지원 방법 - 

 빠르고 유연한 지원 


INSIGHT -

코로나19 상황에서 인권단체는 모두가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인권 활동은 때때로 벽에 부딪힐 수 있고, 변화는 빠르게 찾아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평등한 사회를 향해 한걸음 더 나아가기 위해, 인권 활동을 지원해야 합니다.


HOW TO -

인권침해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자원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공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위기 상황에 맞게 사업 수행 기준을 유연하게 적용하고, 인권 단체와의 소통을 늘려 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03

 이어달리기 


과거에도 지금도 우리 사회를 더 나은 곳으로 바꾸려고 노력해온 인권활동가들이 있기에 지금 우리는 인권을 말하며 살고 있습니다. 그래서 인권 활동은 ‘거대한 이어달리기’에 비유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지금, 이어달리기의 다음 주자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습니다.

우리가 마주한  조건 

사회 문제의 한 가운데,

높은 스트레스 환경

최저임금보다 낮은 활동비,

부족한 복지제도

끝나지 않는 업무,

쉬지 못하는 활동가


활동가의 희생과 헌신을 당연시하는 문화

떠나는 활동가들

해결 방법 - 

 활동 조건의 변화 


INSIGHT -

인권 활동의 구조적인 문제가 단기간에 변화되긴 어렵습니다. 활동가 개인이나 몇몇 단체의 노력으로 쉽게 바뀔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열악한 노동 환경을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활동가의 쉼과 재충전이 가능하도록  활동 시스템을 정비해나가야 합니다.


HOW TO -

인권재단 사람은 인권활동가의 쉼과 재충전 지원 사업, 3인 이하 인권단체  활동가의 복지 기반을 만드는 사업, 단체의 재정 운영을 돕는 사업 등을 매년 운영합니다. 2020년에는 활동가들이 자신을 돌보고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음 건강 지원사업’을 시작했습니다.







해결 방법 -  활동 조건의 변화 


INSIGHT -

인권 활동의 구조적인 문제가 단기간에 변화되긴 어렵습니다. 활동가 개인이나 몇몇 단체의 노력으로 쉽게 바뀔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열악한 노동 환경을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활동가의 쉼과 재충전이 가능하도록  활동 시스템을 정비해나가야 합니다.


HOW TO -

인권재단 사람은 인권활동가의 쉼과 재충전 지원 사업, 3인 이하 인권단체  활동가의 복지 기반을 만드는 사업, 단체의 재정 운영을 돕는 사업 등을 매년 운영합니다. 2020년에는 활동가들이 자신을 돌보고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음 건강 지원사업’을 시작했습니다.



04

인권기행


인권 기행이 역사의 현장에서 고통을 당한 사람들의 이야기에서 끝나지 않고, 그 고통을 이겨내고자 했던 인권 활동가들을 만나는 것으로 이어진다면 좋겠습니다. 그 고통을 이겨내기 위한 노력들이 우리의 인권 현대사를 써왔음을 사람들이 기억해주기를 소망합니다.

우리가 마주한  현장 

학살과 해원의 섬 -

제주4.3 현장

좁은 창, 작은 방, 비밀계단 - 

남산 안기부 터와 남영동 대공분실

외딴 섬에 살았던 사람들 - 

소록도

모두가 우리였던 그 날 - 

광주5.18 현장

다르게 흐르는 시간들 - 

세월호 참사 현장

감옥에서도 지워진 얼굴들 -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봄을 찾아가는 세 갈래 길 - 

마석 모란공원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 

전쟁기념관

역사의 현장에서

 사람 을 생각하다


INSIGHT -

우리는 동시대의 상황과 고민만으로 살고 있지 않습니다. 알게 모르게 앞선 시대의 사람들이 만들어온 역사 위에서 지금의 인권을 누리고 있습니다. 우리가 앞선 이들의 희생에 빚지고 살고 있는 것을 기억할 수 있는 인권 기행이 계속 되어야 합니다. 


HOW TO -

인권재단 사람은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준수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인권기행을 떠나는 날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습니다. 2021년부터는 유튜브 채널에서 박래군 소장이 해설하는 랜선 인권 기행이 시작됩니다. 








역사의 현장에서 사람을 생각하다


INSIGHT -

우리는 동시대의 상황과 고민만으로 살고 있지 않습니다. 알게 모르게 앞선 시대의 사람들이 만들어온 역사 위에서 지금의 인권을 누리고 있습니다. 우리가 앞선 이들의 희생에 빚지고 살고 있는 것을 기억할 수 있는 인권 기행이 계속 되어야 합니다.


HOW TO -

인권재단 사람은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준수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인권기행을 떠나는 날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습니다. 2021년부터는 유튜브 채널에서 박래군 소장이 해설하는 랜선 인권 기행이 시작됩니다. 



2020 모금 성과

2020 배분 성과

2020 운영 성과

내용금액(원)
비율(%)
기부금
2,296,280,846

99.1

     일반 기부금
794,198,092
34.3
     단체 지정 기부금
1,502,082,754
64.8
보조금18,000,000
0.8
임대 수입
2,109,000
0.1